본문 바로가기

컴퓨러

(200)
이번에도 컴퓨터 9년 넘게 사용하다보니까 변화를! 수십년 전이라고 얘기 하기에는 좀 긴 이야기 갖고 아무래도 얼마 전 한번 컴퓨터 케이스 열어서 오랫동안 사용했던 컴퓨터 한번 들여다봤는데 i5 750으로 버티고 있는 것 같고 그래픽카드는 한번 업그레이드 해 줬어 662고 이래저래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니까 슬슬 변화를 기대해보는 점 이라기보다는 업데이트로 갈까 교체로 갈 거 생각해 보게 되는 데가 오기도 할 겁니다. 이런 시기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한번 받아 보게 되는데 이번에는 아무래도 고장이 난 다음에 오는 매길 때 사용하는데 그 중에서도 CPU를 먼저 생각해 보게 되지요. 요즘에는 라이젠 3600 이었던가 하실 분 다 내구성도 생각해 보게 되고 다양하게 알아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ssd가 pm981 pm981a로드 있는 것 같고 내구성은 인텔 ..
대역폭은 일반 메모리에서 게임 같은 거 하다 보면은 업데이트 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예전만큼 저사양으로 안돌아가고 로딩도 오래 걸리게 되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아무래도 슬슬 컴퓨터 관련해서 이래저래 변화를 줄 때가 된 거 싶은 생각도 뜨는데 그래픽카드 새로 한다면 아무래도 rtx570이나 1650 Super 생각해 보라는 이야기도 있고 내장그래픽카드는 무조건 듀얼램이라고 하고 아니면은 rtx rx570 중고로 가는 것도 마음의 변화가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적당하게 그래픽 카드 하나 장만 화면으로 게임 하는데 좀 더 나름대로 원활하게 플레이 할 수 있지 않아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현재 컴퓨터가 카베리 150 apu인데 1080해상도에서 60프레임이 나오는게 게임이라서 조금 놀랄 때도 있는데 이래저래 안 돌아가다가 그..
게임을 안 하면 적당하게 노트북 가는것도! 요즘 컴퓨터 사양이 인텔 코어 i5 그리고 지포스 550ti 요즘도 사용하는데 모니터가 17인치 정도 된 것 같아서 아무래도 오래 되다 보니까 정확한 사양에 대해서는 파악하는데 시간이 필요한 것 같더라고요. 컴퓨터가 50인치 tv hdmi 연결해서 영상 같은 거 사용 안 하고 그냥 켜 놓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하고 있네요. 문제는 영상 같은 거 보려고 하면 블루레이 이런 거 재생 하면은 쿨러 들어가는 소리 가게에 많이 나더라구요. 그리고 영상도 끊기고 컴퓨터와 아무래도 교체를 해야 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드는데 자재 거실에 공간이 좀 좁아서 노트북으로 가려고 생각하고 있는데 어떤 상황에 어느 정도 용도로 생각해 본다면 데스크탑이 맞는지 아니면 노트북이 괜찮은 건지 모르겠더라고요. 이래저래 다양하게 생각해 ..
올려봤는데 1.37 vs 오류가 나와서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고 라이젠 b450 사용하다가 메모리 오버해서 3200으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메모리 오버 하면은 3600으로 하면 얼마나 나아질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당연히 같이 있는 데다가 램타조이기 하고 안정화테스트 통과하면 실사용 가능한데 해보면 알겠지만 은근히 신경 쓰이게 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국민오버라고 3200엔 쓰는 사람들이 많이 있더라구요 1.38 v에 tm5 패스 하더라도 그냥 3200a 1.3v 쓰고 있네요. 세부 전압 조이기 시작하면은 CPU over도 힘들지만 기본적으로 메모리 여부가 힘들기도 하고 cl 조금이라도 더 나온다 면은 3200 쓰는게 아무래도 정신 건강에 이롭지 됐지요. 아수스는 어느정도 이용해 볼만하고 동급 기가바이트 되는 것도 있는데 같은 수치를..
영상이나 문서 작업을 하다 보니까 주사율에! 이래저래 인터넷 하다 보면은 모니터 관련해서 다양하게 알아보기 되는 경우도 있는데 그나마 눈에 들어오는게 VA 패널 쓰거나 HDR 기능이 빠져 있는 경우도 있고 다른 경우 27인치 몇 년 전에 장만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색감은 괜찮고 건재하지만 큰 모니터로 가고 싶은 생각이 드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gtx970 hof에서 i7 870 살짝 오버에서 사용 중인데 HDR 개념을 나중에 고려해서 준비하고 있는 것도 있더라고요. 게임은 안 하고 주로 영상이나 문서 작업을 하다 보니까 주사율에 간에 크게 신경 안 쓰고 영상 볼 때도 주사율 영향이 있는 건지도 느끼지 못 하게 되더군요. 이번에 27인치에서 보고 게임만 하고 고치고 주사율 필요 없더라구요. 어차피 영상은 30에서 60프레임 기준으로 만들어져서 그 이상..
드라이버 업데이트 그리고 컴퓨터에서~ 컴퓨터 상태를 알아보고 있는데 본체 뒤쪽에 보면은 불이 들어오는 것이 있는데 아무래도 깜빡이지 않은 상태로 계속 있는 것 같고 랜카드 메인보드가 나가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되더라고요. 아직 포맷은 안 해보고 이래저래 조금 더 체크해 봐야 하는 상황이 있는 것 같습니다. 드라이버 삭제하고 재설치해 보면 답이 나올 것 같은데 뜬 것 자체가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 안 되어서 생기는 것 줄 겁니다. 메인보드에 랜카드 나갔다면 외장형 랜카드 따라야하고 동일하게 노란색 느낌이면 외장랜카드 따로 한번 알아 봐야겠지요. 인터넷 연결 안 되길래 드라이브 재설치 하려고 했었는데 설치 마지막 과정에서 인텔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없다고 나오더라고요. 아무래도 외장랜카드 장만 해야 할 것 같은데 USB 연결하는 타입인지 아무거나 ..
도포 상태를 살펴봐야 할 거고 쿨러는! CPU 사용량이 몇 퍼센트 이상인데 온도가 80도 이상이고 이러한 경우 어떻게 점검해봐야 될지 알아 보게 되지요. 3열수냉쿨러 바꾸면 온도가 어느 정도 낮아질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CPU 쿨러 사이에 효과 서멀 구리스 도포 상태를 살펴봐야 할 거고 쿨러 관리자프로그램 실행해서 CPU 쿨러 온도차이를 살펴보면 될 겁니다. 혹시 클로 관리자프로그램 어떤게 있는 건지도 검색해보고 클로제 주다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찾아보면 된다고 합니다 쿨러 장착 해보고 섬을 구리스 제대로 되어 있는데 클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케이스 종류 갈라디 설치 위치와 흑백 2등 알면 좋을 것 같은데 240 그에 evga CLC 240 liquid이 경우에도 evga 답변으로 9900k..
게임 같은 경우 가끔 하는데 아무래도 시간을! 게임 같은 경우 가끔 하는데 아무래도 입고 정도 활용하는 게임들이 많이 있을 거고 권장 사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하는 게임 이름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좀 더 자세한 상황은 확인하기 내 한부분도 있지요. 이에 이용도가 거의 사무용이라 하면은 다중코어 샐러드 힘들게 사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i3 9100f 적당한 그래픽 카드만 사용해도 될 때 내보이고 그런데 컴퓨터 손 놓은지 오래되었다고 했는데 그냥 요즘엔 어떤게 출시되어 있는지 잘 몰라서 이래저래 다양하게 알아보는 것도 있더라고요. 그러니까 컴퓨터에 관심 끄는지 오는데 이렇게 저렇게 부품들 권상철 알아보다가 시간 낭비할 필요 없을 것 같고 시간 내서 마쳤는데 정확한 용도를 모르고 맞추었다가 만족스럽지 못한 성능이 나와서 안 좋은 이야기들을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