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러

(200)
이미 정점에 서 있는 영역이라 내장그래픽으로 내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기에 충분한 작업을 하는지에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할 것 같은데 그래픽은 2d 3d로 나누고 2D 요소로는 해상도 책상 수직주파수 색감으로 나눌 수 있고 더 이상 발전할 수 없이 이미 정점에 서 있는 영역이라 내장그래픽으로도 충분하더라구요. 이래저래 계산해보니까 하면 1929 * 1080 fhd 4bit 8 메가 메모리 점유하고 내장메모리에서이 정도만 가져와서 사용해도 충분하다고 생각되고 보통 메인보드에서 256mb 또는 2GB 정도로 할당하는데 반면에 3D는 앞으로는 무한대로 발전할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사무용 프로그램 중에 3D 그래픽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없을 건데 동영상 인코딩 렌더링 또는 게임 3D 전문 프로그램등에 직업에서는 중요도가 높지만 일반적인 오피스군 작업에는..
저장장치의 속도보다 불러들이는 파일을 연산에! 아무래도 숫자를 다루는 작업이란 소식 자동계산이 필요한 것 같고 확인해 보니까 엑셀이 점유율이 은근히 넓더라구요. 브레이크 걸게 하는 요인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편하게 작업 하려고 하다 보니까 컴퓨터를 업그레이드나 교체해 쪽으로 생각해 보게 됩니다. 아무래도 SSD 쪽도 생각해 보게 되었는데 일반적인데 HDD, SSD는 각각 reading 속도가 몇 배 정도 차이가 나는데 만약에 수신 메가 엑셀 파일을 Open 하고자 한다면 HDD는 0.1 sec SSD는 0.02 sec 차이를 체감하는 거는 등을 위한거라는 생각입니다. 있다고 해도 실 사용하는데 큰 의미를 부여하기 힘들고 좋은 SSD 년이냐 안정성에 있는 RW 속도 용량을 거의 채웠을때 입출력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디램캐시 존재유무 인된 사무용 도로 A..
처음에는 크롬설치후 몇 번 재부팅을 하고~ 윈도우 7 종료해서 mx500으로 프로버전으로 설치했는데 처음에는 크롬설치후 몇 번 재부팅을 하고 나서 크롬이 자동 실행되면서 복구하려면 뜨고 로그인도 안 되고 다른 프로그램도 응답이 없어서 실행 자체가 안 되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윈도우 재설치 하고 검색으로 여러 가지 명령어 서비스 설정 다 건드려 봐도 그런 말 설치하면 비슷한 증상이 나오고 우연히 하드웨어 가속을 가면 된다고 해서 해 봤는데도 사라지지 않더라구요. 이래저래 여러 유틸 중에 포토샵 설치하고 실행하니까 똑같은 증상이 생겼는데 하드웨어 가속 쪽이니까 그래픽카드 쪽 문제인지 아니면 윈도우 운영체제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부품 문제인지 파악을 전혀 못 하고 있네요. 윈도우 7 이런 정상 한 번도 없었는데 윈도우 10으로 넘어오면서 ..
센터 스피커라서 대강 높이가 그런데 TV위치를! 요즘 컴퓨터 서서 하는게 뭐가 있는지 모르겠는데 34인치 모니터인데 이게 원래 아래쪽 센터에 저 끝까지 있어서 너무 높아져서 불편했었는데 좋은 방법 없나 이래저래 알아보고 있다고 말해도 다 높이 있는 것 같아서 지금 막 써서 컴퓨터 해 보니까 대강 좀 낮은 느낌이더라구요. 하체근력운동으로 도움은 안 되겠지만 컴퓨터 사용하는데 있어서 어떤지는 한번 시도해 보고 싶은 호기심을 생기는 것 같습니다. 앉아서 컴퓨터 하는게 허리에 걷기 안 좋다고 눈을 내려 보기 때문에 안 좋다고 해서 저도 예전에 참치 시도해 봤는데 못 하겠더라고요. 서 있는게 좀 피곤해서 일 하는 건 게임 하는 건 집중이 잘 안되더라고요. 안 그래도 이래저래 외출 자제 하면서 체력 떨어지면 느껴지는데 시도해 봐야겠네요. 실제로 서서 사용하는 책..
보통은 uefi-csm 부팅 모드로 두 가지 모두~ 컴퓨터 요번에 업그레이드 하다가 부팅이 안되는 경우도 가끔 있더라구용. 라이젠 3800x 택배로 받아서 얼마 전에 메인보드랑 램 등등 다 장착했는데 그래서 재부팅 해 봐도 다이어트 화면만 계속 뜨고 그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지를 않더라구요. 아무튼 컴퓨터 사양도 체크해 봐야 되고 bios 보면은 하드디스크 인식이 다 되어 있는 걸로 체크 되는데 윈도우 다시 깔아야 알지 안부 아니면은 포맷을 해 봐야 할지 생각해 보게 되는 것 같네요. SSD 말고 하드디스크 그들도 포맷 해야 될까 좀 더 깊이 있게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CPU는 4세대 i7 4790이고 메인보드는 h97m gaming 이네요. uefi 부팅 모드 또는 legacy 보근 CSM 부팅모드 두 가지가 있는데 보통은 uefi-csm 부팅 모..
아무래도 방이 적다보니까 공유기는 100mb로! 아무래도 차치하다 보니까 컴퓨터 사용하는데 있어서 공유기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더라고요. 아무래도 골라 보고 있는데 어떤 걸로 갈지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5평 연관없는 방에서 100메가 인터넷이라 기가급까지는 필요 없을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이래저래 공유기 하나 장만하고 싶은데 대충 검색해보니까 아이피타임 a604r 그리고 n700e wr840n plus 등등 다양하게 제품들이 많이 있더라구요 어떤 걸로 가야 할지 좀 더 알아보는 것도 있고 여유가 있다면 마음에 드는 걸로 가고 싶은데 현실적으로 여자지 하다 보니까 이래저래 돈 수 있는 데가 많아서 무난하게 가성비 쪽으로 생각해 보게 되는 건 당연한 것 같습니다. 방이랑 옆방에 사용하는게 있는데 몇 만 원짜리라 그냥저냥 잘 되더라구요. 나중에 혹..
에러 비프음 외에는 사용될 일이 없는거나! 컴퓨터만 만져 가다 보니까 메인보드에 끼우는 스피커 관련된 부품이 있던데 잘만 S3 그리고 아수스 exa320m 사용하고 있고 너무 많은 부품들이 있어서 관련되어서 많이 알지는 못하지만 케이스에 볼트 집어넣는 하얀 봉지가 터져 있더라고요. 케이스 뜯어보고 관련된 장비들이 많이 있던데 메인보드에 끼우는 스피커 핀이 안 보이는 겁니다. 케이스 설명서 보면은 따로 스피커 핀이 포함 안 되어 있던데 스피커만 따로 장만 해야 되나 싶은 생각도 듭니다. 메인보드 스피커 정도로 검색해도 나오기는 하는데 웬만한 메인보드에 포함되어 있지 않나요? 메인보드 메뉴 열어 보니 기분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 건 확실히 아닌 것 같고 그렇다고 별매품이라고 적어 놓은 것도 아니고 어느 정도 부실한 거 싶습니다. 설명서를 잘 보면 은..
과거부터 금속피막에 눈에는 안 보이는 부분도 컴퓨터 사용 하다 보면은 가끔 예기치 않은 고장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그럴 땐 어떻게 대처해야 되고 어떻게 보고 해야 되나 이래저래 많이 알아보기도 하는데 물론 경험이 많고 나름대로 전문적인 지식이 있다면은 즉각적으로 대처해서 정상적인 컴퓨터 사용을 할 수 있는 능력자도 많이 있겠지요.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는 이것저것 다양하게 컴퓨터 부품을 만져 보고 다시 조립해 보고 시간을 많이 보내 기도하는데 나름대로 그러한 경험도 좋은 경험 많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까지 램의 문제가 있었을 때 청소만 제대로 하면 다 복구가 되어서 굳이 다시 청소했어 딱기까지 해야 했는데 이번에 지우개로 한번 지우고 다시 장착해 보니까 컴퓨터가 복구되는 경험도 있더라고요. 원칙은 접점부활제라는 걸 써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