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러

(200)
혹시나 CPU 나 그래픽카드의 온도가~ 컴퓨터가 갑자기 꺼지는 경우가 있는데 게임을 하다가 프로그램 실행 하다가 보면 갑자기 꺼지고 부팅 후에도 끊어지는 경우가 있던 다 어떻게 이렇게 하면 매번 꺼지는지 모르겠습니다. 게임을 한참 하다 보면은 오랜 시간이 지나다가 커지기도 하고 어떨 때는 정상 작동 하는 경우도 자주 있었습니다. 혹시나 CPU 나 그래픽카드의 온도가 너무 높아 나 싶었는데 그것도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고 그래픽카드도 새로 청소해 보고 메인보드 해도 좌석도 한번 해봤는데 똑같은 양이더라구요. 알고 있는데 하드웨어적인 문제 라면 그래픽카드 팬 두 개 중에 한 개가 작동하지 않고 한쪽만 먼지가 껴있고 한쪽에는 깨끗해서 사용되지 않았던 것 같더라고요! 그리고 트로피코 6이라는 게임을 켜면은 확률이 계속 높아지다가 5분 후에 느껴..
바이오스에서 안 보여도 실제로 이래저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자주 생기네요 어떻게 해야 될지 답답하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는데 아무래도 M2 방식의 SSD 인식 문제가 있어서 bios에서 인식이 안 되더라고요. 조립은 잘 안 된 것 같아서 다시 분리해서 연결해 봤는데도 안 되고 SSD는 pm981 m.2 2280 메인보드는 b360m pro4입니다. 부팅은 아무래도 관련돼서 이것저것 알아봐야 하는 부분도 있는 것 같더라구요. M2 다른 슬롯에 느껴보고 아무래도 두 군데 있을 건데 슬롯이 포트에 따라 차 타라 겹쳐 하드 인식이 안 되는 것도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처음에 설치했다 인식이 안 되어서 다른 곳에 연결하니까 되더라고요. M2 장착하면 특정 sata 포트 인식 안되는 경우가 가끔 있다고 하던데 다른 HDD SSD m.2 SSD ..
TV 화면에 페이지를 볼 수 있을까! IPTV 셋톱박스를 하다가 TV 화면에 페이지를 볼 수 있을까 생각해 보게 되는데 인도장에서 pip 같은 거 볼 수 있는 방법을 알아 보게 되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현재 TV 수신카드로 케이블 연결해서 pc에서 pip 보고 있는데 IPTV로 조만간 교체할 걸어서 pc에서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캡쳐보드가 필요한데 IPTV 셋톱박스 출력 HDMI를 PC 캡쳐보드로 연결하면 될 겁니다. 그냥 캡쳐보드 연결해서 hdcp 락 보험 문제 때문에 시청이나 녹화불가로 인해서 별도로 hdmi-mini 분배기가 필요한데이 중에서 흐드미 2.0 분배기 많이 사용하는데 4K 해상도 60프레임 테라베이 분배기 이것도 있더라고요. 아니면은 엘칸토 hd60pro 사용하는데 분배기 없이 시청도 잘 되고 녹..
화질 문제가 아니라 게임 때문이라면 32인치는 24인치 QHD 모니터에서 32인치로 넘어가려고 하는데 fhd QHD 생각해 보게 됩니다. CPU 3700x 사용중이고 그래픽카드는 gtx1070m 32인치 fhd 레데리 옵션 중하옵으로 즐기는게 나은지 아니면은 그래픽카드 rtx 2070 SL 32인치 fhd로 하는게 좋은지 생각해 보는 대학 아니면은 그래픽카드 32인치 QHD 옮길까 생각 다 기도합니다 어떤 식으로 가는게 게임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되는데 쉽게 말하자면 fhd 해상도에서 qh 해상도 어떤 것도 멋진 그래픽 감상하기 위해 좋을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32인치 QHD 쓰는 유저로서 PC 방 가서 피파 fhd 하면은 비교가 많이 되더라고요. 24인치 fhd 쓰는데 32인치 fhd 들어가면 불편함을 못 느끼는지 궁금한 부분이고..
메인보드 RAM 이렇게 세 개만 교체하고 메모리는 삼성 rain 보다 xmplant 도있고 쓰는 것이요. 누구에도 유리한지는 참고해보면 될 거고 프리미엄 굉장히 7세대 CPU 일텐데 2400g 이상이라면 무난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알려 M16 기가 이상이라면 아마 생각대로 램이 많으면 좋긴 하지요. i7 3770 갤럭시 1050 TI 4gb 나쁘진 않은데 파워 270 일하는게 좀 부족해 보이기도 합니다. 결국엔 이것저것 올리다보면 새로 사는게 낫다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요. 만약에 1050ti LP 만들면 프로그램 어느정도 사용한지 모르겠는데 컴퓨터가 반제품으로 가급적 쓸 때까지 가고 싶어지더라고요. 먼저 GPU로부터 바꿔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고 2업그레이드 같긴 한데 hd2500 하고 HD 4000 원 차이가 좀 많이 나니깐요. ..
라이젠 사려다가 다 교체한다는 소리 듣고! 라이젠 사려다가 다 교체한다는 소리 듣고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는데 이상하게 컴퓨터 좋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될지 알아 보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그냥 새로 컴퓨터 사야할까 봅니다. CPU를 교체 하시려면 메인보드 바꿔야 되는데 메인보드 바꾸려면 ddr3 sdram 업그레이드 하셔야 됩니다. 보통 ddr3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그래서 일단 CPU 바꾸려면 메인보드 CPU RAM부터 좀 보고 시작하면 될 것 같아 보이네요. 그래픽카드도 바꾼다면 내용처럼 케이스 빼고 거의 컴퓨터 새로 맞춘 우주는 것 같습니다. 라이젠을 쓰시려면 메인보드를 CPU 7세대 맞춰서 바꿔 줘야 합니다. 바꾸게 되면 메모리가 아마 dd 가서 쓰셔야 하고 바꾸셔야 하고 실질적으로 980번 하드디스크 정도만 쓸 수 있는데 라이젠 쓸 거..
주 전력이 CPU 나 VGA라 볼 수 있기에~ AMD 3600 정도 쓰려면 파워가 600와트 좀 더 쉬어야 하지 않나 싶은데 그 이하면 파워가 부족하지 하늘나라 모르겠습니다. 한동안 컴퓨터를 안 맞췄더니 감이 안 오는 것 같네요. 전략은 CPU가 아닌 부위 지혜가 많이 먹는데 3600 쓴다면 그게 어울리는 고성능 VGA 쓸 거면 600와트 정도 맞춰야 겠지요! 요즘 n602 기본이고 수냉그래픽카드가 높거나 하드디스크만 있으면 650b 나 700W 쓰더라고요. 저는 700W 브론즈등급 이상 이야기하는데 일밤 모르시는 분들은 파워엠 뭐 하러 도전하는데 더블유 데뷔 효율을 타자 보면은 사용 가능한 와트가 오신 안 되고 파워 부족하면 다들 아시는 그런 현상이 일어나기도 좀 써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시소닉 VGA 델타 에너맥스 등등 쓸만하고 오래 쓸 수 있는..
문제될 건 없는 온도오른다면 컴퓨터케이스를~ 조금 무거운 작업을 하면 온도가 올라가는데 게임 좀 하드하게 돌리면 80도 근처까지 가더라구요. 일단 이게 온도가 이정도 오래 작업하면 무리가 챙길까 싶기도 한데 할 수 있는 건 해보고 전면메쉬 펜네 개에서 다섯 개 구성 케이스를 설치 하면 좋을까 싶기도 하고 아니면 CPU 쿨러를 따로 한번 붙이는게 나을까 싶기도 하더라고요. 케이스 물적 되면 될 테고 3월이나 컬러로도 창고에 볼만하고 전혀 문제될 건 없는 온도인 것 같은데 신경쓰인다면 컴퓨터케이스 뚜껑 열고 걸로 바꿔 보는 수밖에 없지요. 선물도 있고 Griffin z9 용량 적당한 거 쓰면 되고 쿨러도 좀 따라 봐야겠지요. 온도는 스펙이 아니라 쿨러가 걸이도 아니냐에 따라 물어봐야 할 부분인 것 같습니다. 온도문제 안되고 그래 듣고 가고 싶다면 옆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