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러 (200) 썸네일형 리스트형 램 특성타서 그럴경우도 있을까? 보드 쇼트인 경우. 예전에는 케이스의 불량률이 꽤 있었습니다. 마감이 잘못되어 졌다던지. 애초에 설계를 잘못했다던지 해서 전기가 누수되어 보드 및 여타 장비의 전기적인 방해를 해서 에러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게 생각외로 빈번하게 일어나는 경우입니다. 해결 : 보드,비됴 카드를 빼서 종이상자 같은 곳에 올린후에 파워 꼽고, 나머지 장비 꼽고 테스트 해본다. 3. 램 하나 꼽으면 괜찮다 하셨는데, 램특성타서 그럴경우도 있긴 정말 있습니다. 그런데 거의 드뭄니다. 램이 어디 제품인지 명시 안되어 있는데.. 램뱅크 확인하시고... 85보드를 잘 보면 램 꼽는게 0,1,2,3 이라고 있을겁니다. 음 아니다. 확실히 도면 찾아보고 다시 알려드릴께요. 하여튼 하나 꼽으면 괜찮다는게 램뱅크 에러 일수도 있으니 OXO.. 혹시 사타포트 움직인건 아닌가요? 화재보다 하드 뻑날까봐 더 두려워요. ㅜㅜ 물론 불나면 뻑나킨하지만요. 근꺄 불안나고 고장만나면 더 열받을거 같은 기분. 메인보드마다 조금씩 다르던데 자신에게 맞는걸로 검색해보시거나, 아니면 일일이 다른 포트로 바뀌 꽂아가면서 부팅해보세요. 알겠습니다. ssd에 윈도우 설치 후 하드 장착했다고 하신거면 ssd만 설치하고 윈도우 설치 후 하드 추가 하신거죠? 혹시 사타포트 움직인건 아닌가요? 이거 잘 못 건드리면 씨모스 들어가서 설정 다시 하셔야합니다. 사타포드 안건드렸구요. 이게 윈도우 보니까! ssd랑 하드 두개다 메인으로 설정이 되어 있더라고 변경 안되고, 씨모스 설정 다시 한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윈도우는 ssd만 깔았는데 기존하드가 파티션 나눠저 있고 파일 안에 들어 있습니다. 그래픽카드가 뭔지 몰라도 전력부족은? 그런 상태면 전력부족 의심해봐야겠네요. 그런가요...;; 흑..ㅠ 하드는 개당 10와트도 안먹어요. 즉 그래픽카드가 뭔지 몰라도 전력부족은 아닙니다. 사양은 정격파워라면 500와트로도 커버되는 정도인데다, 그것도 게임등을 해서 풀로드일 경우에도 버티는거고, 보통 인터넷 하고 문서작정하고 하면 씨퓨나 그래픽카드도 다운클럭되서 작동하므로 전력도 적게 먹습니다. 그런데 일반적 상황에서 인식 안되는건 하드문제라고 생각 됩니다. 하긴 SSD나 1TB하드는 여태 그런적이 없으니.. 하드문제가 가장 유력하군요.. 그래픽카드는 HD 1GB 입니다.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제품이 아니라면, 문제가 생긴 거겠죠. 험하게 썼으면, 그만한 부작용이 남았을테니까..? 전력 문제 생기기에는 파워 스펙상 말도 안 되는 듯.. 오랜만에 추억게임이 떠오르네요. PC판만 놓고보면 피파의 승리확정이죠. 피파 = 플스4&엑박원과 동일한 최신엔진 적용함. 즉, 차세대 시스템.. 위닝 = 플스4&엑박원과 엔진이 다름. 즉, 그렸던 위닝2014엔진을 채용.. (개선한다고 했지만 아무리 개선해봤자 차세대보다 많이 떨어질듯...)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pes2012가 완성도 면에선 더 괜찮은듯,,, 그 이후 나온 시리즈는 작이지만~마치 pes2012 플레이 영상을 보는 것과 비슷하네요. 전혀요. ㅋㅋㅋ 해보시면 압니다. 피파 14 해보고 충격먹었죠. 진짜 부드러워서 깨달았죠. 위닝은 플레이 스타일을 천천히 만드는데.. 이건 부드럽게 구현을 못하니까 어쩔수 없이 이렇게 만드는거라고요.. 피파11부터 콘솔10버전 엔진 사용되고서.. 점차 위닝유저도 피파로 넘어갔어죠. 그 이후로 .. 하드에 오류난 것 아니면 포맷 카드로 어떻게 하실꺼면 근거리가 좋습니다. 본인이 직접조립하실꺼면 알아서 하시고 조립을 맡기실꺼면 기준을 정하는게 좋을지도! 조립경험겸 하시는거라면 하지만 조립에 흥미없으시면 친구에서 번호내고 사는게 더 좋아요. 조립이 쉬워보이긴해도 막상해보면 은근히 복잡한 부분도 있어요. 조립은 초등학생도 할정도로 간단합니다. 유일하게 어려운 부분이.. 케이스와 본체 정면 버튼 연결하는 여러 가닥선들인데.. 그것도 다 글이 써있어서 유심히 본다면 누구나 조립할 수 있습니다. 한번 직접 생각하시는걸 말해드립니다. 신품은 이미 포맷되어져서 나옵니다. 그냥 쓰세요. 그리고 하드에 오류난 것 아니면 퀵 포맷하면 됩니다. 저도 퀵포맷하기는 하는데 시간 넉넉할때는 그냥 느린거 해요. ㅋㅋㅋㅋ 느낌이 다른거같아요. ㅋㅋ 전원키고 옵션키를 꾸~욱 누르고~ 몇번 과정에서 만들어놓은 USB를 꼽아놓고. 전원키고 옵션키를 꾸~욱 누르고 있으면 주황색 USB아이콘이 뜰겁니다. 이름은 아마도 windows라고 나오겠죠. 그걸 방향키로 선택후 리턴버튼 누르고 들어가면 1번과정에서 OS TO Go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이미지를 심었다면, 파란 화면에 영어로 "윈도우 셋업 스타트" 목록이 나올겁니다. 선택하시면 윈도우 이미지를 읽고 윈도우 설치화면으로 넘어갑니다. 그럼 2번과정 나와있는 윈도우 설치방법대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부트캠프 드라이버 설치파일은 검색해서 미리 받아놓으시구요. 2013년도 부터 나온 등등 부트캠프 드라이버5.0으로 까셔도 드라이버 잘 깔릴겁니다. 윈도우만 깔고 노트북처럼 써도 상관없습니다. 제가 그렇게 쓰고있거든요. 카페갈때 뽀대용이죠...맥은 아.. 사용중에 교체하실거라면 마운트를? 네이버나 블로그 검색해도 잘 나와 잇으니 거기도 확인. ㅎㅎ 조립은 동영상등도있을거에요. 그리고 구멍만 잘맞춰서 꼽아주시면 쉽게되요. 제가 아는 상식으로 위험한 행동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컴퓨터가 켜진 상태에서 도킹을거나 빼면 하드 무리 손상 주거나 자료가 손상을 입는다고 들어습니다.. 최악의 경우 불량섹터가 생길 수도 있어요.. 도킹하거나 분리 할떄에는 반드시 켬퓨터를 완전히 종료 하시고 도킹하고 빼세요.. AHCI모드의 기능 중 하나가 핫스 지원이긴 한데 사용중에 빼거나 꼽는 것은 피하는게 좋죠. 사용중에 교체하실거라면 마운트를 해제하고 하시기 바랍니다.시스템 HDD가 아니고, 현재 동작(읽기/쓰기) 중이 아니라면, S-ATA는 기본적으로 핫을 지원하기 때문에 가능해요. 단지, 주의는 좀 하셔야 하.. 제어판 - 전원옵션 가서 절전 cpu교체는 포기하시는게 cpu + 메인보드 파시고 다른소켓으로 가셔야할듯.. 1세대 기종이라 1156보드이실걸로 생각이되는데, 새로 하나 장만하셔야하고 1세대 제품군중 조금 성능 좋은걸로 가는것도 좋은 선택일지도, 모를듯 i7시리즈나 1세대도 제온시리즈 호환되던가. 물론.. 보드랑 cpu값을 합친게 i7 1세대 가는것보다 싸면 그냥 샌디 이상으로 넘어가시는걸, 1세대는 업글해도 요즘에는 좀 버겁습니다.. 메인보드까지 교체하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지금 사용하는 메인보드랑 cpu랑 같이 팔면 얼마쯤 나옵니까.. 제어판 - 전원옵션 가서 절전 끄고 고성능에 맞춰보세요. 블로그 가면 모든게 다 잘 나와 있습니다.... 진리군요...ㄷㄷ 감사합니다.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