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62)
도포 상태를 살펴봐야 할 거고 쿨러는! CPU 사용량이 몇 퍼센트 이상인데 온도가 80도 이상이고 이러한 경우 어떻게 점검해봐야 될지 알아 보게 되지요. 3열수냉쿨러 바꾸면 온도가 어느 정도 낮아질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CPU 쿨러 사이에 효과 서멀 구리스 도포 상태를 살펴봐야 할 거고 쿨러 관리자프로그램 실행해서 CPU 쿨러 온도차이를 살펴보면 될 겁니다. 혹시 클로 관리자프로그램 어떤게 있는 건지도 검색해보고 클로제 주다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찾아보면 된다고 합니다 쿨러 장착 해보고 섬을 구리스 제대로 되어 있는데 클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케이스 종류 갈라디 설치 위치와 흑백 2등 알면 좋을 것 같은데 240 그에 evga CLC 240 liquid이 경우에도 evga 답변으로 9900k..
게임 같은 경우 가끔 하는데 아무래도 시간을! 게임 같은 경우 가끔 하는데 아무래도 입고 정도 활용하는 게임들이 많이 있을 거고 권장 사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하는 게임 이름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좀 더 자세한 상황은 확인하기 내 한부분도 있지요. 이에 이용도가 거의 사무용이라 하면은 다중코어 샐러드 힘들게 사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i3 9100f 적당한 그래픽 카드만 사용해도 될 때 내보이고 그런데 컴퓨터 손 놓은지 오래되었다고 했는데 그냥 요즘엔 어떤게 출시되어 있는지 잘 몰라서 이래저래 다양하게 알아보는 것도 있더라고요. 그러니까 컴퓨터에 관심 끄는지 오는데 이렇게 저렇게 부품들 권상철 알아보다가 시간 낭비할 필요 없을 것 같고 시간 내서 마쳤는데 정확한 용도를 모르고 맞추었다가 만족스럽지 못한 성능이 나와서 안 좋은 이야기들을 수도..
이미 정점에 서 있는 영역이라 내장그래픽으로 내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기에 충분한 작업을 하는지에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할 것 같은데 그래픽은 2d 3d로 나누고 2D 요소로는 해상도 책상 수직주파수 색감으로 나눌 수 있고 더 이상 발전할 수 없이 이미 정점에 서 있는 영역이라 내장그래픽으로도 충분하더라구요. 이래저래 계산해보니까 하면 1929 * 1080 fhd 4bit 8 메가 메모리 점유하고 내장메모리에서이 정도만 가져와서 사용해도 충분하다고 생각되고 보통 메인보드에서 256mb 또는 2GB 정도로 할당하는데 반면에 3D는 앞으로는 무한대로 발전할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사무용 프로그램 중에 3D 그래픽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없을 건데 동영상 인코딩 렌더링 또는 게임 3D 전문 프로그램등에 직업에서는 중요도가 높지만 일반적인 오피스군 작업에는..
저장장치의 속도보다 불러들이는 파일을 연산에! 아무래도 숫자를 다루는 작업이란 소식 자동계산이 필요한 것 같고 확인해 보니까 엑셀이 점유율이 은근히 넓더라구요. 브레이크 걸게 하는 요인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편하게 작업 하려고 하다 보니까 컴퓨터를 업그레이드나 교체해 쪽으로 생각해 보게 됩니다. 아무래도 SSD 쪽도 생각해 보게 되었는데 일반적인데 HDD, SSD는 각각 reading 속도가 몇 배 정도 차이가 나는데 만약에 수신 메가 엑셀 파일을 Open 하고자 한다면 HDD는 0.1 sec SSD는 0.02 sec 차이를 체감하는 거는 등을 위한거라는 생각입니다. 있다고 해도 실 사용하는데 큰 의미를 부여하기 힘들고 좋은 SSD 년이냐 안정성에 있는 RW 속도 용량을 거의 채웠을때 입출력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디램캐시 존재유무 인된 사무용 도로 A..
디지털인 USB 케이블는 될까 모르겠지만 케이블 장만했는데 탈피하는 거 음질이 분명히 좋아질 거라고 생각되는데 막연한 기대감 주도 있더라구요. 아무래도 음파를 수학적으로 실시간 분석할 수 있다며 자기가 늦게 설정 모르지만 청각 기간에 모든 대역의 음파와를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할 겁니다. 사이보그이거나 인공지능이 아닌 이상은 힘들 수 있는 부분이지요. 동일한 조건에서 같은 스피커 앰프 외장사운드카드 등등 flac 파일 조건하에서가 케이블 막 선생님과 브랜드 케이블 쓰는 거 음질 차이가 없다는 얘긴가요. 싸구려 케이블이 노이즈 생기는 건 맞을 것 같고 몇 100짜리 케이블이면 몰라도 차이가 있나 궁금해지는 것도 있네요. 컴퓨터로 듣는 건 음악이 디지털화되어서 큰 의미가 없다고 보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큰 의미 없다는 건 작은 의미가 있다는 ..
처음에는 크롬설치후 몇 번 재부팅을 하고~ 윈도우 7 종료해서 mx500으로 프로버전으로 설치했는데 처음에는 크롬설치후 몇 번 재부팅을 하고 나서 크롬이 자동 실행되면서 복구하려면 뜨고 로그인도 안 되고 다른 프로그램도 응답이 없어서 실행 자체가 안 되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윈도우 재설치 하고 검색으로 여러 가지 명령어 서비스 설정 다 건드려 봐도 그런 말 설치하면 비슷한 증상이 나오고 우연히 하드웨어 가속을 가면 된다고 해서 해 봤는데도 사라지지 않더라구요. 이래저래 여러 유틸 중에 포토샵 설치하고 실행하니까 똑같은 증상이 생겼는데 하드웨어 가속 쪽이니까 그래픽카드 쪽 문제인지 아니면 윈도우 운영체제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부품 문제인지 파악을 전혀 못 하고 있네요. 윈도우 7 이런 정상 한 번도 없었는데 윈도우 10으로 넘어오면서 ..
센터 스피커라서 대강 높이가 그런데 TV위치를! 요즘 컴퓨터 서서 하는게 뭐가 있는지 모르겠는데 34인치 모니터인데 이게 원래 아래쪽 센터에 저 끝까지 있어서 너무 높아져서 불편했었는데 좋은 방법 없나 이래저래 알아보고 있다고 말해도 다 높이 있는 것 같아서 지금 막 써서 컴퓨터 해 보니까 대강 좀 낮은 느낌이더라구요. 하체근력운동으로 도움은 안 되겠지만 컴퓨터 사용하는데 있어서 어떤지는 한번 시도해 보고 싶은 호기심을 생기는 것 같습니다. 앉아서 컴퓨터 하는게 허리에 걷기 안 좋다고 눈을 내려 보기 때문에 안 좋다고 해서 저도 예전에 참치 시도해 봤는데 못 하겠더라고요. 서 있는게 좀 피곤해서 일 하는 건 게임 하는 건 집중이 잘 안되더라고요. 안 그래도 이래저래 외출 자제 하면서 체력 떨어지면 느껴지는데 시도해 봐야겠네요. 실제로 서서 사용하는 책..
보통은 uefi-csm 부팅 모드로 두 가지 모두~ 컴퓨터 요번에 업그레이드 하다가 부팅이 안되는 경우도 가끔 있더라구용. 라이젠 3800x 택배로 받아서 얼마 전에 메인보드랑 램 등등 다 장착했는데 그래서 재부팅 해 봐도 다이어트 화면만 계속 뜨고 그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지를 않더라구요. 아무튼 컴퓨터 사양도 체크해 봐야 되고 bios 보면은 하드디스크 인식이 다 되어 있는 걸로 체크 되는데 윈도우 다시 깔아야 알지 안부 아니면은 포맷을 해 봐야 할지 생각해 보게 되는 것 같네요. SSD 말고 하드디스크 그들도 포맷 해야 될까 좀 더 깊이 있게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CPU는 4세대 i7 4790이고 메인보드는 h97m gaming 이네요. uefi 부팅 모드 또는 legacy 보근 CSM 부팅모드 두 가지가 있는데 보통은 uefi-csm 부팅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