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러 (200) 썸네일형 리스트형 케이블 뭉치 안에 숨어있었습니다. 아... 제가 말을 잘못한거 같습니다;;; 파워에서 나오는 메인보드 전원 4핀을 찾고 있는데, 커세어 750 CX는 6+2핀 같습니다. 조립 동영상 둘러보니 대부분 4+4핀 이군요 ㅠㅠ.. 아....그런경우도있군요 ;;;그러면 방법이없네여 ... 아 ㅡ.ㅡ;;;글쓴이 분께서 착각하셨나 봅니다... 그건 그래픽카드 용이에요 ... 6+2 vga 전원 입니다!! 착오 없으시길... 요기보세요 ...그래픽 용이에요 ;;; 찾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덕분에 많이 배웠습니다. 어라?! 그럼 이게 없는데... 아!!! 찾았습니다. 케이블 뭉치 안에 숨어있었습니다. 국내 정발제품이고.... 윈도우즈7 소프트웨어 목록에는 무선네트워크 드라이버는 나오지도 않습니다 ㅜㅜ.. 네트워크 드라이버 하나 있는데 이건 유선 .. 어디 고장인줄만 알면 분해까지 하셨으니? 그냥 컴 자체를 맡기시면 눈탱이나 바꿔치기 당할 수 도 있습니다. 그냥 가서 고장부위 테스트만 해달라고 하면 해 줍니다. 어디 고장인줄만 알면 분해까지 하셨으니 교체정도는 쉽게 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테스트만 맡길수도있군요..감사합니다 ㅎㅎ 그런데 저사양에 바꿔치기 할까요...? 으으 이왕이면 청소까지 맡기고싶은데... 답답하네요! 재정이 넉넉하면 좋을텐데! 솔직히 재정보다는 제 무식에대한 불안감이 더크구요 ㅜㅜ.. 혹은 오픈테스트는, 마더보드에 cpu 와 ram 을 장착하고 내장글픽 포트에 모니터를 연결해서 테스트합니다. 램장착은 워낙 간단하니까, 그렇고, cpu 소켓이 휘었나 라든지!!! cpu를 입으로 호호 분다든지, 헤어드라이기로... ㅎㅎ 써멀 구리스 따위는 나중 문제입니다. 게임 안하시는거면 충분합니다. 사무용으로 충분합니다. 1080p 동영상도 충분하구요... e5200 보다 못한 e2140로도 사무용으로 충분하던데요. 게임 안하시는거면 충분합니다. 인터넷, 위드, 스프레시트, 동영상 1080p 문제없습니다. 혹자는 컴이라고도 하지만 제 경우 현역에서 아직까지도 잘 쓰고 있습니다. ^^; e5300으로 배필4 최하옵도 돌리니 사무용으로는 성능이 넘쳐나죠.. 5~6년전쯤? 이었나요. 그때부터 샌디브릿지 나오기 전까지 잘만 썻는데, 저도 E5200 에다 3기가 오버하고, DDR2 4기가램(2x2)달고 지포스9600으로 써본적 있습니다. 메인보드는 기가P43 이었고, 오버클럭은 그냥 바이오스에서 FSB 200->240 으로 주기만 했고, 기본전압에 다른거 건드리지 않았는데, 메인보드 불량일 가능성이 높아요. 메인보드 패치를 하시면 대용량 usb가 다시 잡히는데 그게 안된다면 메인보드 불량일 가능성이 높아요.. 하드웨어적인 충돌때문인 가능성이 농후 함.니다. 괜찮은 마더보드 입니다... 가격도 착하고요. 리베이트 받으면 160불 까지 내려가니... 단지 SLI 하실거니 두번째 카드는 PCI-E 3번째, CMOS 배터리 바로 위 자리에 꽂아야 하기에 약간 빈 공간이 보이실겁니다.. 저도 락 익스트림4/6 보고 있다가 뽀대 때문에 X99S SLI Krait 살려고 하는데 USB 3.1 나와서 X99A SLI Krait 나오길 기달리네요.. 몇주만 더 기달리면 될듯 ㅜㅜ... 오... usb 3.1장착 모델이 나오나요? 그렇다면 저두 조금 기다려 봐야겠네요 ㅎ... 기준으로 수스는 X99-Deluxe는 3.1 나왔.. 새로사자마자 불량이 오는경우도 있나요? 4g 12800u 라고 적혀있네요.. 그 보드 사용가능한거는 정확히 어디서 확인가능할까요? H55 HD 제가 제조사 홈에서 확인...제조사 홈 메모리 지원 내용.. 제가 확인한표는 DDR3 1600(OC)/1333/1066/800 요래 되있네요.. 그냥 4g 12800U 팔거나 10600U 4g로 교환하세요... 팔고 새로 장만해야겠네요 ㅠㅠ 친절한답변 감사합니다... 속도랑은 상관없어요..JEDEC 규격대로 정해진 속도로 되는거기때문에... 그냥 램이 에러인겁니다.. 하나씩은 되도 풀슬롯일때 안되는경우도 있구요... 새로사자마자 불량이 오는경우도 있나요,,,, ㅜㅜ 제가 부품만 따로 산게 첨이라.. 보드는 칩셋 종류 빼면 전원부는? 보드는 칩셋 종류 빼면 전원부는 대체로 상향평준화고 파워는 설령 싸더라도 정격이라고 적혀진거 사서 쓰는게 마지노선이라 생각하고.. (좀더 간다면 되도록 인증된 녀석을 사는게 좋습니다. 기본 품질은 대체로 되어있는거기에...) 모니터는 고장나면 자가 수리가 어려우니 최소한 AS가 되는제품을 사는게 낫다고 봅니다.. (질도 질이지만...) 드가 암울하긴한대 내장그래픽을 쭉 사용한다는 가정하에서 7600으로 가시는게 나을듯합니다. 동영상감상을 블루레이로 보지않는한 양쪽다 버벅거리지는 않으나 내장그래픽이 성능은 둘째치고, 색감이 엉망인지라 저는 못쓰겠더라구요... 그래서 내장 안쓰고 8600gt 연결하니 한결 나아지네요. 그런가요? 메인보드만 좀 신경쓰면! 현실적으로 결국 돈이겠지만.. 보면 파워,cpu,보드 순이라고 보는데, 기술적이나 맡은 기능을 가지고 보면 cpu가 가장 중요한걸로 봅니다.. 순서가 어딧어 걍 파워 메인보드 시퓨 램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다 중요함 ㅋ.. 오랫동안 컴퓨터 만져봤지만 시피유 그래픽 카드 어쩌구 해도.. 결국 파워 좋은거 하나 사둬야 다른 애들도 무리도 없구 고장도 안나구요..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도 결국 전원부 튼튼한거 보고 결정하는일이 많죠.. 저도 파워에 한표입니다. 확률에 따라서는 동반고장도 하니까요. 거기에 메인보드만 좀 신경쓰면 사실 거의 고장나지 않고 오래쓰겠지만, 이건 안정성에 염두를 둔거고, 사람에 따라서 그래픽카드나, cpu나 다양하겠지요. 작업을 뭐로 할것이냐에서 성능면으로 보면 또 다르게 순위를 매기겠.. 보드의 센서위치가 정확히 어딘진 모르겠지만!! ssd는 어디꺼가 좋나요??? 굳이 게임을 많이하는편은아니나 방송 + 인터넷창을 많이켜는데....가끔FM(CD게임)을 하는정도라서.. SSD는 disk x110이나 마이크 100을 드립니다. HDD는 소모품이라 사용할수록 점차 느려지게 되지만 SSD는 메모리 형식이라 속도가 일정해요... 쉽게 말씀드리면 내부청소 싹 하고, 노후된 HDD를 새 HDD로 교체하고 포멧하고 쓰면, 처음 샀을때처럼 빠릿한 느낌이 든다는 거죠. FM이 말씀하시는 거라면 CPU와 SSD(또는 HDD) 속도 많이 탑니다 ㅎㅎ.. 또한, 청소 및 서멀을 다시 도포하는 것이 주요부품 발열을 잡아주기 때문에, 발열을 잘 잡아주면 컴퓨터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블로깅 하는 사람들이 많으니, 검색만 하면 친절하게 사진까지 하여 글쓰시는..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5 다음